이 기사는 2025년 11월 04일 16시 57분 넘버스에 발행된 기사입니다.

 

/사진=정유진 기자
/사진=정유진 기자

박병건 PEF협의회장이 국내 프라이빗에쿼티(PE)가 경쟁력을 갖춰야 국민들의 노후 및 복지기금도 늘어난다고 강조했다. 다만 홈플러스 사태 등으로 PE를 규제하려는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른 만큼, 업계의 신뢰 회복을 위해 협의회가 먼저 변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대신파이낸스센터에서 <블로터>와 만나 “사모펀드 수익의 수혜자는 업계가 아니라 연기금 같은 국민 노후자금”이라며 “국내 PE에 출자하는 출자자(LP)의 상당수는 연기금과 공제회 등으로 PE의 투자 성과가 곧 국민의 자산증식으로 이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PE의 수익은 전부 회사가 가져간다고 생각하지만 오해”라며 “PE의 보수율은 오히려 벤처캐피털(VC)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활발해진 사모펀드 규제 논의에 대해 박 회장은 외국계 PE의 시장 잠식을 우려했다. 그는 “연기금이 투자한 포트폴리오 중 대체투자, 특히 국내 PE의 바이아웃 부문 성과가 우수하다”며 “국내 PE가 규제로 투자기회를 해외에 내주면 외국 연기금만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논의하는 규제안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강도가 분명히 세다”며 “미국·유럽·일본과 주로 경쟁하는 만큼 이들 3개국의 규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균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강한 규제안이 논의된 데는 업계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PE가 LP들의 수익률 제고에만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사회적 책임도 다해야 한다”며 “홈플러스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국민 눈높이에 맞춰 투명성과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9대 PEF협의회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2개의 소의원회를 신설한다. 사모펀드 업계의 과제로 꾸준히 지적돼온 신뢰성과 외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박 회장은 “집행위원회 소속 운용사 대표들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분야 외부 전문가를 위촉해 책임규범을 마련하겠다”며 “외부와의 소통창구도 마련해 시장과 정책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둘 다 11월 중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위원회에는 15개 운용사가 소속돼 있다. 전임 PEF협의회장인 임유철 H&Q 대표의 임기에 대형사 1곳과 소형사 3곳을 추가로 늘렸다. 박 회장은 “과거와 달리 중소형사도 위원회에 포함해 회원사의 목소리를 고르게 반영하려 한다"며 "업계의 조화로운 목소리로 외부와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회장 임기 조정이나 협회 격상 등 여러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협의회장은 2018년부터 위원회에 소속된 각 운용사 대표가 1년씩 돌아가며 맡아 정책의 연속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사모펀드 규제 법안이 쏟아지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협의회를 협회로 격상시키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설 사무국을 설치해 신속하게 정책에 대응할 계획이다. 

박 회장은 업계의 변화 움직임에 대해 “의도와 관계없이 국민의 우려가 있었던 만큼 스스로 개선하자는 분위기”라며 “MBK도 이번 사안에 책임감을 느끼고 위원회에서 물러났다”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2014년부터 대신프라이빗에쿼티(대신PE) 대표를 맡아왔으며 지난달 제9대 PEF협의회장에 취임했다. PEF협의회는 국내의 약 100개 사모펀드(PEF) 운용사 간 협의체로 업계와 정부·금융당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