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금고가 내년부터 지방자치단체 지방보조금 전용 계좌를 운영할 것으로 파악됐다. 시중은행 중심으로 독점이 이어진 연간 26조원 규모의 지방보조금 시장에 사상 첫 상호금융이 진입하게 되는 것으로, 대표 서민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써 지자체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는 개인 및 법인의 금융 편의성은 향상되고 지역 금고의 신규 고객 기반 확대에도 청신호가 켜질 전망이다. 또 시중은행 지방 점포 축소에 따른 공백을 메우는 '공공금융'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1일 [블로터] 취재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7억원을 투입해 행정안전부의 지방보조금관리시스템인 '보탬e' 전산 인프라 구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보조금 수령 서비스에 나선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이르면 내년 3월 정도에는 상호금융으로도 지방보조금 수령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새마을금고는 지방보조금 수령을 위한 전용 계좌와 연계 카드 상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보조금 사업자가 계좌와 연결된 카드로 경비를 편리하고 투명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지방보조금 취급기관 확대는 지역 새마을금고에 새로운 고객 기반을 넓힐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정부의 상호금융 예탁금 비과세 혜택 축소 예고로 예수금 확보의 중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보조금 시장 참여는 개별 금고의 안정적인 자금 운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별 새마을금고와 자산 규모는 보통 2000억~3000억원대로 작은 편이다. 지방보조금이 개별 사업자에게 교부될 때 규모는 몇억원대에서 수십억원대에 이르렀던 점을 고려하면 지역 금고 입장에서는 중요한 자산 운용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시중은행의 지방 점포 축소로 금융 접근성이 낮아진 인구 감소 지역에서 상호금융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전국 3200여 개 점포 중 400여 개를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 감소 지역(89개 시군구)에서 운영하며 시중은행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다.
전국 243개 지자체는 연간 약 26조원 이상의 지방보조금을 개인과 법인에 지원하는데, 그간 지자체 금고은행(시금고)에서만 이를 취급할 수 있었다. 행정안전부가 보조금 부정수급을 차단하기 위해 2023년 보탬e를 도입하면서 지방보조금 취급기관을 지자체 시금고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전국 지자체 시금고의 약 80%는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맡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사회에 밀착한 새마을금고, 신협 등 상호금융권이 지방보조금 취급기관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새마을금고는 저신용·저소득 근로자,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등 금융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책자금대출을 적극 취급하며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는 인구 감소 지역에서도 점포를 유지하며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며 "지역 소상공인 등 서민을 위한 금융의 본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