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사옥/사진제공=넥슨
넥슨 사옥/사진제공=넥슨

넥슨이 올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와 27%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오히려 41% 증가하는 이례적인 흐름을 보였다. 영업 실적 악화에도 순이익이 증가한 핵심 요인은 환율 효과다.

플랫폼별로는 올해 3분기 모바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했지만 PC·콘솔이 20% 성장하며 공백을 메웠다. 특히 한국 메이플스토리와 던전앤파이터(PC)가 실적 방어를 이끌었다.

 

환율 효과로 순익 반전

11일 넥슨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1조1147억원(1187억19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불변 환율 기준으로도 9% 줄었다. 영업이익은 3524억원(375억2800만엔)으로 27% 감소했다.

회사 측은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는 2024년 3분기 중국에서 폭발적 흥행을 기록했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더 퍼스트 디센던트의 높은 비교 기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의 경우 출시 첫 분기 효과가 워낙 컸던 만큼 올해 역기저효과가 불가피 했다. 역기저효과는 전년도의 실적 수치가 높을 때 올해 실적이 좋아도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반면 순이익은 3584억원(381억6500만엔)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3분기 외환이익 92억엔이 반영된 영향이다. 전년 동기에는 196억엔의 외환손실이 있었던 만큼, 외환손익이 약 288억엔 개선돼 영업 둔화를 상쇄했다.

플랫폼별로는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 3분기 모바일 매출은 335억28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했다. 같은 기간 PC·콘솔 매출은 851억9100만엔으로 20% 증가하며 모바일 부진을 메웠다. 전체 매출에서 PC·콘솔이 차지하는 비중은 72%로, 넥슨의 실적 중심이 여전히 PC에 있음을 재확인했다.

넥슨 3분기 실적 요약표(단위:백만엔, 억원)/자료 제공=넥슨
넥슨 3분기 실적 요약표(단위:백만엔, 억원)/자료 제공=넥슨

 

한국 선전, 중국 모바일 역기저

지역별로는 한국 시장이 실적을 견인했다. 3분기 한국 매출은 690억72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 메이플스토리는 여름 업데이트 성공에 힘입어 매출이 약 3배 늘었다. 메이플스토리 프랜차이즈 전체로는 61% 성장했으며, 올해 역대 최고 연간 매출이 전망된다. 메이플스토리 월드 매출은 전년 대비 8배 이상 증가하며 플랫폼 확장세를 보였다.

던전앤파이터 PC도 매출이 72% 성장했다. 특히 한국 버전은 145% 성장했고, 중국 PC 버전도 여름 및 국경절 업데이트에 힘입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MAU(월간활성이용자), ARPPU(유료 사용자당 평균 매출)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FC 온라인의 매출도 예상치를 웃돌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늘었다.

반면 중국 매출은 283억7700만엔으로 50% 감소했다.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의 매출 감소가 주된 원인이다. 다만 회사측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 직전 분기 대비로는 성장하며 예상치 상단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북미·유럽 매출은 더 퍼스트 디센던트의 역기저효과로 인해 45% 감소한 94억5200만엔을 기록했다.

넥슨이 준비 중인 신작 라인업/자료=넥슨 IR 자료 갈무리
넥슨이 준비 중인 신작 라인업/자료=넥슨 IR 자료 갈무리

 

'아크 레이더스' 흥행 기대

넥슨은 4분기 이후 신규 지식재산권(IP)과 주주 환원을 통해 실적 반등을 이뤄낼 계획이다. 10월30일 출시된 아크 레이더스(ARC Raiders)는 출시 2주만에 400만장 이상 판매되고, 최대 동시 접속자 수 70만명을 돌파했다. 최근 넥슨이 선보인 새로운 IP 중 가장 성공적인 출시로 평가된다. 

또한 ‘프로젝트 DX’, ‘낙원(LAST PARADISE)’,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Vindictus: Defying Fate)’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을 순차 출시할 계획이다.  

넥슨은 주주 환원 정책도 강화했다. 넥슨은 기말 배당금 예상치를 주당 15엔에서 30엔으로 두 배 상향했다. 2025년 연간 배당금 예상치는 주당 45엔, 2026년은 주당 60엔이다. 1000억엔 규모의 자사주 매입 정책에 따라 올해 10월 250억엔 규모 매입을 완료했다. 잔여 250억엔에 대한 매입은 11월12일부터 내년 1월26일까지 진행한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