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프로젝트 ‘에이아이식스틴즈(AI16Z)’는 ‘엘리자오에스(ELIZAOS)’로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에이아이식스틴즈(AI16Z) 홈페이지 갈무리
가상자산 프로젝트 ‘에이아이식스틴즈(AI16Z)’는 ‘엘리자오에스(ELIZAOS)’로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에이아이식스틴즈(AI16Z) 홈페이지 갈무리

가상자산 프로젝트 ‘에이아이식스틴즈(AI16Z)’가 토큰 리브랜딩 및 스왑 과정에서 스냅샷 기준일을 국내 거래소에 사후 통보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재단 측의 일방적인 일정 변경으로 투자자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스냅샷은 특정 시점의 블록체인 상태를 기록해 에어드랍·포크 분배 등 이벤트의 기준으로 쓰는 절차다. 일반적으로 스냅샷 시점의 가상자산 보유량을 기준으로 신규 코인을 배분하기 때문에, 일정 공지는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AI16Z 재단은 자체 토큰을 ‘엘리자오에스(ELIZAOS)’로 변경하는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있다. 당초에는 별도의 스냅샷 없이 올해 11월7일부터 내년 2월5일까지 마이그레이션(토큰 스왑)을 지원하겠다고 안내했다. 기존 투자자 입장에서는 내년 2월까지 보유 물량을 조정할 시간이 충분한 상황이었다.

 

AI16Z 재단은 리브랜딩 과정에서 돌연 스냅샷 기준일을 이달 11일로 결정했다/사진=디스코드 공지사항 갈무리
AI16Z 재단은 리브랜딩 과정에서 돌연 스냅샷 기준일을 이달 11일로 결정했다/사진=디스코드 공지사항 갈무리

그러나 재단은 리브랜딩 과정에서 돌연 스냅샷 기준일을 이달 11일로 결정했다. 재단은 스냅샷 일정을 급하게 결정한 뒤 국내 투자자와 거래소에는 뒤늦게 알리면서 혼란을 키웠다. AI16Z 재단은 스냅샷 기준일을 확정한 뒤 다음 날인 12일, 가상자산 프로젝트 공식 커뮤니티 허브인 '디스코드'에 관련 내용을 공지했다. 국내 거래소들과는 사전 협의 없이 스냅샷을 먼저 진행해 놓고, 이후에 입금된 물량에 대해서는 스왑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스냅샷 이후 국내 거래소로 입금된 AI16Z 토큰이 재단 기준상 스왑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국내 거래소들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우선 빗썸은 이달 17일, 코빗은 19일, 코인원은 24일 각각 AI16Z 입금(또는 입출금)을 순차적으로 중단했다. 같은 날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 소속 회원사들은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이들 거래소는 현재 투자자 보호를 위한 대응 방안을 DAXA 소속 회원사들과 논의하고 있다. 업계에선 향후 상장 유지 여부, 스왑 지원 범위, 리브랜딩 지원 방식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스냅샷 일정을 거래소에 사후에 공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며 “이는 가상자산 거래의 중요사항인 미공시·절차 불투명성 등 거래지원 모범사례 위반에 해당되는 매우 중대한 사례”라고 지적했다.

빗썸은 이달 17일 AI16Z 관련 스냅샷공지사/사진=빗썸 공지사항 갈무리
빗썸은 이달 17일 에이아이식스틴즈(AI16Z) 리브랜딩 및 토큰 스왑으로 인한 입출금 공지사항을 올렸다./사진=빗썸 공지사항 갈무리

이런 가운데 해외 거래소에서는 관련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국내 거래소가 사실상 ‘패싱’을 당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해외거래소들은 스냅샷 기준일인 11일 이전에 이미 ‘AI16Z → ELIZAOS’ 스왑을 진행하고, ELIZAOS 기준 거래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먼저 스왑을 마무리해 놓고 국내에는 구체적인 일정조차 제때 공유하지 않은 셈이다.

AI16Z 재단 측은 ‘아비트라지(차익거래)’ 방지를 이유로 스냅샷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저점 구간에서 토큰을 매수한 뒤 마이그레이션 직후 대량 매도에 나서는 세력이 생기면 가격이 급락할 수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들이 DAXA와 공동으로 재단 측에 개선 방안을 요구하겠지만 재단이 국내 거래소만을 위한 별도 마이그레이션 지원책을 내놓을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며 “결국 재단의 섣부른 판단으로 토큰이 유의종목 지정을 비롯한 제재 수순을 밟게 되면 국내 투자자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