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노텔이라는 조인트벤처를 보고 있노라면 어부지라는 말이 떠오른다. LG전자는 통신 장비와 일반 전화기 사업부를 떼어내 노텔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했는데, 노텔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고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파트너로 일한다고 해서 국내 최대의 수혜자가 됐다.


또 톰슨과 폴리콤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통합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기 협력 업체로 LG-노텔이 선정되면서 교환기와 단말 분야에서 모처럼 외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내외 통합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련해 LG-노텔 비즈니스 전략팀 오승헌 차장을 만나게 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국내외 협력이 어떻게 진행되고, 올해 좀더 가시적인 성과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오승헌 차장을 만났다.


오승헌 차장은 “우리는 전통적 PBX를 사용하는 고객이던 새로운 IP PBX를 도입하려는 고객이든 또 키폰이나 전통적 전화기, IP폰, IP 영상 단말기 등을 도입하려는 고객이던 상관없이 지원이 가능하다”고 자사의 경쟁력을 자랑한다.


LG-노텔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라이브커뮤니케이션서버와 오피스커뮤니케이터와 LG-노텔 교환기와 매끄럽게 연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독자적인 소프트폰도 개발 제공한다. 소프트폰은 기업용 메신저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기업용 메신저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들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결 고리로 이를 사용하면 된다.


지금은 전화 서비스와 엑셀이나 아웃룩 같은, 또 전자결제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지 않은 기업이 태반이고, 또 연동하기도 어려웠는데 이런 고객들이 고민을 LG-노텔이 매끄럽게 해결해준다는 설명이다.


오송헌 차장은 “우리는 단말기 위에 소프트폰은 물론 기업용 메신저도 얹어진다. 전화의 모든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는 없지만 이런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LG-노텔 입장에서는 삼성전자와 어바이어, 시스코, 알카텔에 앞서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리한 고지에 올라섰다는 주장을 편다. 다른 경쟁사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을 지원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겠지만 여전히 본사 차원에서 가장 강력한 우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은 바로 자사라는 설명이다.


LG-노텔은 통신사용 소프트스위치를 개발한 인원들도 남아 있다. 또 이동통신사들의 통신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는 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 유무선의 경계를 넘나드는 환경의 기업들에게는 최적의 파트너라는 설명이다.


LG-노텔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솔루션 협력과는 별개로 썬이나 IBM, 델 같은 서버 업체와도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 통신 서비스가 범용 서버 위에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얹어지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기에 자사 소프트웨어가 잘 돌아갈 하드웨어 벤더와 협력은 피할 수 없다.


노텔 본사 차원에서는 IBM과의 협력이 눈에 띈다. IBM은 블레이드 서버와 스위치, 스토리지 등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단일 아키텍처를 공급하고 있는데 노텔이 IBM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기에 이런 파트너십이 국내에 어떻게 적용될지도 관전 포인트다.


오송헌 차장은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하게 될 때 투자될 비용은 최대 1년 안에 상쇄될 만큼 생산성 향상이 눈에 띈다”고 전하고 “특히 국내 지사가 많고 해외 사업을 많이 하는 고객들의 경우 그런 혜택의 1순위자”라고 도입을 적극 장려한다. LG-노텔도 최근 내부적으로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을 위한 움직임에 착수했다.


LG전자에서 분사된 조직들과 노텔의 경영 전략이 만나 탄생한 LG-노텔이 통합 커뮤니케이션 분야 최대의 수혜자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런 호재를 어떻게 내실있게 현실화시킬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