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아지더라도 직장과 개인생활의 여유에서 삶의 만족을 찾는 다운시프트(Downshift)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남녀 직장인 1,3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0.6%가 ‘현재보다 소득이 낮더라도 직장과 개인생활의 여유를 위해 직업을 바꿀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응답은 남성(53.4%)이 여성(45.8%)보다 많았으며 연령대별로 40대가 57.1%로 가장 높았고, 20대(51.0%), 30대(50.3%)가 뒤를 이었다.

조사결과를 보면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10년 이상 직장생활을 해온 40대 직장인들이 다운시프트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성공적인 직장생활과 개인생활을 위한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도 ‘높은 소득’보다는 ‘직무만족’이 중요하다는 응답자가 많았고 개인생활의 여유가 중요하다는 응답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응답자들은 직장 생활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담당하는 일(직무)에 대한 만족도’(31.9%)를 꼽았고, 그 다음으로 △ 높은 소득 (27.4%) △ 개인생활의 여유(14.2%) △ 동료들의 신뢰와 선호도(12.8%) △ 쾌적한 근무환경(6.7%)이라고 응답했다. 또 ‘현재보다 소득이 낮더라도 직장과 개인생활의 여유를 위해 직업을 바꿀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 중에는 ‘개인의 일(직무)에 대한 만족도’(36.0%)와 ‘개인생활의 여유’(22.2%)가 중요하다는 응답자가 과반수 이상으로 조사됐다. 반면 ‘직장과 개인생활의 여유를 위해 소득 낮은 직업으로 바꿀 의사가 없는’(49.4%) 응답자들은 직장이나 개인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높은 소득’(40.5%)을 꼽아 대조를 이뤘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웰빙 문화 등 생활의 질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부와 명예보다 삶의 여유와 질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과도한 스트레스와 높은 근무강도에서 벗어나 일상의 여유와 생활의 질을 높이려는 직장인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블로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